Ch2_04 데이터 조작 프로시저 최적화
Study/정보처리기사 2020. 10. 11. 01:031. 데이터 조작 프로시저 성능개선
1. 쿼리 성능 개선(튜닝)의 개념
A. DB에서 프로시저에 있는 SQL 실행 계획을 분석, 수정을 통해 최소의 시간으로 원하는 결과를 얻도록 프로시저 수정
2. 쿼리 성능 개선 절차
A. 문제 있는 SQL 식별 : 모니터링 도구 APM 등 활용
B. 옵티마이저 통계 확인
C. SQL문 재구성
D. 인덱스 재구성
E. 실행계획 유지 관리
3. 옵티마이저 통계 확인
A. 옵티마이저의 개념 : SQLD르 가장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최적의 처리경로를 생성해주는 DBMS 내부의 핵심 엔진
i. 실행계획 : 옵티마이저가 생성한 SQL 처리경로
B. 옵티마이저 유형
i. 규칙기반 옵티마이저 (rbo) : 통계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사전 등록된 규칙에 따라 질의 실행 계획 선택
ii. 비용기반 옵티마이저 (CBO) : 통계 정보로부터 모든 접근 경로를 고려한 질의실행 계획 선택
C. SQL 수행과정 내 옵티마이저 역할
i. 쿼리 변환
ii. 비용 산정
iii. 계획 생성
D. 힌트 사용 : SQL 성능 개선의 핵심 부분으로, 옵티마이저의 실행 계획을 원하는 대로 변경할 수 있게 됨
i. RULE : 규칙 기반 접근 방식 사용
ii. CHOOSE : 오라클 옵티마이저 디폴트 값에 따름
iii. INDEX : 저장된 인덱스를 강제적으로 사용
iv. HASH, MERGE, NL : HASH, SORT, NESTED JOIN 형식으로 일어나도록 유도
4. SQL문 재구성
A. 특정 값 지정 : 조건절의 > < 가 아닌 = 사용
B. 별도의 SQL 사용
C. 힌트 사용
D. HAVING 미사용
E. 인덱스만 질의 사용
5. 인덱스 재구성
A. 자주 쓰는 컬럼 선정
B. SORT 명령어 생략
C. 분포도 고려
'Study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h3_02 연계 메커니즘 구성 (0) | 2020.10.11 |
|---|---|
| Ch3_01 연계 데이터 구성 (0) | 2020.10.11 |
| Ch2_03 데이터 조작 프로시저 작성 (0) | 2020.10.11 |
| Ch2_02 물리 데이터 저장소 설계 (0) | 2020.10.11 |
| Ch2_01 논리 데이터 저장소 확인 (0) | 2020.10.11 |



